▲ 영화 'PMC: 더 벙커'에 출연한 배우 이선균. 제공|CJ 엔터테인먼트
[스포티비뉴스=이은지 기자] 소위 말해 '대작' '블록버스터'라고 부를 만한 영화에서 배우 이선균을 봤던 기억이 없다. 드라마가 강한 작품이나 강렬한 캐릭터성을 지닌 작품, 달콤한 멜로 등에 더욱 익숙한 배우가 이선균이다.

그랬던 이선균이 영화 'PMC: 더 벙커'(이하 'PMC')에 출연했다. 이토록 CG(컴퓨터 그래픽)가 많은 영화는 처음이라고 했다. 그것도 영화에 참여한 이유 중 하나였다. 생각만 했던 것과 경험을 한 느낌은 달랐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공간의 확장이었다.

"완성본을 보니 공간이 확장되고 깊어지는 부분이 신기했다. 보는 관객들은 잘 모르지만, 나는 그 공간에 있었으니까 더욱 크게 느껴진다. 그런 것이 어색한 것은 없었는데, 카메라를 직접 들고 연기를 한 것은 어려웠다. 집중하는 것이 기존에 했던 연기보다 어렵더라."

'PMC'는 글로벌 군사기업(PMC)의 캡틴 에이햅이 CIA로부터 거액의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지하 30M 비밀벙커에 투입돼 작전의 키를 쥔 닥터 윤지의와 함께 펼치는 생존 게임을 그린 작품이다. 이선균은 북한 닥터 윤지의 역을 맡았다.

윤지의는 특별한 캐릭터를 지닌 인물은 아니다. 이선균도 알고 있는 부분이었다. 애초에 캐릭터에 대한 욕심으로 출연한 작품이 아니었다. 그렇다고 역할이 불분명하지는 않았다. 하정우가 연기한 에이햅의 트라우마를 자극하기도 하고, 다양한 각도로 영향을 주는 인물이었다.

"'PMC' 자체가 에이햅의 갈등과 선택에 대한 영화다. 캐릭터에 대한 욕심이 크지는 않았다. 윤지의는 에이햅의 손과 발이 돼 주기도 하고, 남과 북, 정치적 이념을 떠나 의사로서 가치관과 신념 등을 보여주는 것이 에이햅에게 영향을 준다. 그런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출연 전부터 알고 있는 부분이었지만, 출연이 꺼려지는 이유로 작용할 수도 있었다. 이선균은 오히려 원톱으로 끌고 가는 영화가 아니라서 결정이 수월했다고 했다. "이번에 거절하면 다시 모이기 쉽지 않을 것 같은 조합"이었던 이유도 있었다. "극을 끌고 가는 것은 아니지만, 소화해야 할 부분"을 보고 출연을 결정했다.

캐릭터성이 진하진 않았지만, 전혀 의미 없는 인물은 아니었다. 영화 속에서 에이햅 뿐만 아니라, 극장을 찾은 관객들을 자극하기도 한다. 보통의 영화에서 '북한 사람'은 이념, 사상을 강조하지만 윤지의는 달랐다. 그가 꼽는 윤지의의 키 대사는 무엇일까.

"'사람 살리는데 특별한 이유가 필요하냐'는 대사가 있다. 또 '각자 이기적인 생각 때문에 전쟁이 났다' 등의 대사다. 이념이나 사상보다 신념을 앞선 성격을 보여주는 대사 같다. 또 지혈 하라고 붕대를 던져주는 신이 있는데, 좀 이상했다. 보통은 폭탄을 던지고 갈 것이다. 극장에서 웃음이 그렇게 터질줄은 몰랐다. 그것도 윤지의의 신념인 것 같다."

▲ 영화 'PMC: 더 벙커'에 출연한 배우 이선균. 제공|CJ 엔터테인먼트

이선균이 'PMC' 시나리오를 보고 처음 든 느낌은 '촘촘함'이었다. 편하게 술술 넘어가는 시나리오는 아니었지만 잘 설계된 시나리오였다고.

"굉장히 촘촘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김병우 감독이 겹겹히 설계를 잘 했구나 싶었다. 공간이나 그런 부분이 시나리오만 보고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상상을 하면서, 앞뒤로 오가면서 읽었다. 편하게 술술 넘어가는 시나리오는 아니었고, 이런게 가능할까라는 생각도 많이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선균이 등장하는 대다수의 분량은 모니터로 보여준다. 이선균이 직접 카메라를 들고 자신의 얼굴을 비추고, 이 모습을 하정우는 모니터를 통해 확인한다. 연기를 하면서 직접 촬영까지 한 것이다. 

"모니터를 보고 연기를 한 것이 아니라 카메라 렌즈를 보고 연기를 해야 했다. 다행히 하정우가 먼저 찍어 가이드가 됐지만, 상상하면서 찍어야 하는 부분이라 어려웠다. 촬영을 하고 나면 그때부터 디렉션이 들어온다. 매번 모니터를 확인하고 동선 등이 하나씩 추가되는 방식이다."

작품에서 호흡을 맞출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액션과 리액션이지만 'PMC' 현장에서는 그런 교감을 할 수 없다. 하정우가 찍어논 분량을 보고 가이드를 삼는 방법 뿐이었다.

"내가 영화에 나오기 전까지는 이미 다 찍었다. 그것을 보면서 따라갔다. 그렇게 하더라도 쉽지는 않았다. 액션과 리액션이 있어야 연기를 하는데, 걱정 되는 부분이긴 했다. 순간 호흡을 놓치면 영화 속 환경과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 영화 'PMC: 더 벙커'에 출연한 배우 이선균. 제공|CJ 엔터테인먼트

'PMC'는 할리우드 영화에 가까운 느낌이다. 대부분의 대사는 영어로 돼 있고, 크레딧 상단에 위한 배우도 하정우와 이선균을 제외하면 국내 배우가 없다. '할리우드 영화 같다'는 것은 'PMC'의 장점일 수도 있지만, 정반대의 상황이 될 수도 있었다.

"장점이자 단점이다. 국내 영화 치고는 제작비가 많지만, 할리우드를 생각하면 독립 영화 수준이다. 관객들이 느끼기에 플랫폼이 많아졌다. 극장을 많이 안가는 이유도 그것이다. 극장에서는 스케일이 큰 영화를 보고 싶어 한다. 더 강렬한 사운드와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스케일 말이다. 예를 들어 마블 히어로 무비가 잘 되는 것이 그런 부분을 만족시켜주기 때문이다. 우리 영화도 그런 부분은 충족시킬 것 같다."

강렬한 현장감과 스케일은 만족시켰을지 모르겠지만, 이선균의 대사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다. 총성이 가득한 현장에서 그의 대사 중 많은 부분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았던 이유다. 현장에서도 대사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촬영 할 때도 이야기를 했던 부분이다. 워딩(대사)에 집중을 해야 하는지 처한 상황을 보여주는 것에 집중을 해야 하는지 말이다. 후반 작업에서 다시 녹음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김병우 감독은 현장에 맞게 긴박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방향은 두 개였다. 나도 고민이었다. 결국 김병우 감독이 날 납득시켰다."

이선균에 따르면 'PMC'에 등장하는 대다수의 대사는 좌표였다. 에이햅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그런 대사들이 대부분이었다. 총성가 득한 전쟁터에서 윤지의의 말이 잘 들리는 것도 말이 안되는 상황인 것은 맞았다.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었고, 선택과 집중의 문제였다.

마지막으로 이선균은 객관적으로 'PMC'를 어떻게 봤을까. 물론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할 순 없었지만, 분명한 것은 "장점이 더 부각되는 영화"라는 생각이었다. 모든 작품은 장단점이 있고, 개인적인 아쉬움은 언제나 존재했다. "장점이 분명하다. 압도적인 부분도 있다"고 평가했다.

yej@spotvnews.co.kr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