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강철비'에 출연한 배우 정우성. 제공|NEW

[스포티비스타=이은지 기자] 영화 ‘강철비’는 가상 현실이다. 쿠데타 발생 직후 최정예요원 엄철우(정우성)가 치명상을 입은 북한 1호와 함께 피신한다. 그 사이 북한 전 세계를 상대로 선전포고를, 남한은 계엄령을 선포한다. 이때 북한 1호가 남한으로 넘어왔다는 정보를 외교안보수석 곽철우가 입수, 전쟁을 막기 위해 접촉을 시도한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이지만, 그 누구도 ‘절대 일어 날 수 없는 일’이라고 단정하지 않는다. 가상현실이지만, ‘가까운 미래’라고 이야기 하는 것도 어느 정도는 현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우성 역시 영화를 객관적으로, 관객으로서 봤을 때 “무서웠다”고 했다. “기발한 상상력”이라고 표현하면서도 “있을 법한 이야기”라는 말도 섞었다. ‘강철비’를 그저 영화 속 존재하는 세계라고 보고 어려운 이유와도 같다.

양우석 감독은 냉철한 시각으로 현 상황을 바라봤지만, 영화는 결코 차갑지 않다. 그 시선이 소소한 웃음을 짓게 만들고, 남과 북을 섞이게 한다. 정우성은 영화가 지닌 차갑지 않은 시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야기의 축, 즉 두 철우(엄철우, 곽철우)의 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그런 것 같다. 결국 두 철우를 인간적으로 그렸다. 두 사람은 정치적 인물이 아니다. 곽철우(곽도원)는 외교안보수석이라는 정치의 한 부분을 책임지고 있지만, 외국과의 정치교류를 담당한다. 오히려 남한의 반대쪽, 혹은 엄철우를 대할 때는 조금 다른 느낌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사람이다.”

핵 전쟁은 다들 상상은 하지만 입 밖으로 꺼내길 두려워한다. 이제 전쟁이 일어난다면 핵 전쟁일 가능성이 크다. 벌어질 경우, 상상하지 못 할 피해가 생기고, 그 피해는 우리만의 것이 아니다. 두려움에 쉽게 꺼내지 못하는 이야기를 양우석 감독은 묵묵하게 영화로 만들어 대중들에게 던져줬다. 그런 양 감독을 바라본 정우성은 어떤 감정이었을까.

“이야기에 대한 확신이 있었을 것이다. 양우석 감독은 그 확신을 스스로 믿는 뚝심도 있다. 현장에서 연기는 배우들에게 맡기고, 스스로 생각했던 캐릭터와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를 줄이려 한다. 엄철우의 경우에는 이견이 없었다. 계속해서 날 응원해 줬다. 이미 영화가 공개된 이후에는 의연하게, 겸허히 받으며 버티고 있더라. 시작부터 지금까지 모든 과정에 있어서(‘강철비’를 만드는 과정) 참 멋진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다.”

▲ 영화 '강철비'에 출연한 배우 정우성. 제공|NEW

양 감독이 생각한 엄철우와 정우성이 생각한 엄철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렇다면 그들이 생각한 엄철우는 어떤 인물이었을까. 정우성은 “불행한 체제에 살고 있는 아버지”라고 표현했다. 가족에게 조금 더 나은 삶을 주고 싶은 모습에서 이미 완성 됐다. 그 감정 하나로 움직이는 사람이 바로 엄철우다. 체제 안에서 교육된 충성심은 있지만, 쿠데타가 일어난 현실을 보고 무너진 것이 바로 엄철우다.

북한 최정예요원 이라는 타이틀에서 느껴지는 강인함이 있다. 살인병기와 같이 키워진 사람이지만, 양 감독은 순수한 모습을 지닌 사람이라고 했다. 정우성을 캐스팅한 것도 정우성이 지닌 순수한 모습 때문이었다고.

“나는 스스로 순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하. 무슨 이야기를 하는가 싶었다. 엄철우 나름이 가지고 있는, 삶의 고단함과 책임감들에 조금 더 집중했다. 그런 모습에 충실하게 다가가려는 것을 우선시 했다.”

액션 연기는 특별할 것이 없었다. 액션의 종류와 결은 차이가 있을지라도 정우성의 액션 연기가 처음은 아니라는 의미다. 그저 북한 최정예요원이라는 타이틀에서 비롯된 기대감 비슷한 그것을 채웠다. 캐릭터를 살리기 위해 체중을 줄였고, 그것에서 오는 체력 저하에 다른 액션보다 조금 피로도가 컸을 뿐이다.

사투리는 달랐다. 영화 ‘똥개’에서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했고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다. 그래서 ‘강철비’ 속 평양 사투리는 더욱 큰 숙제와도 같았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었다. 지금까지 매체를 통해 많이 접한 북한 사투리와 달랐다. 생소한 사투리는 대사 전달에도 문제를 만들 수 있는 요소였다.

“대사 전달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다. 진짜 평양 사투리를 들려주느냐, 관객들이 편하게 들을 수 있게 전달하느냐의 문제였다. 잘 전달 하는 게 맞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타협이다. 타협을 해 전달력을 높이면 평양 사투리와는 다른 사투리가 된다. (엄철우의 첫 대사가 들리지 않았다는 말에) 내용이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이질감이 중요했다.”

▲ 영화 '강철비'에 출연한 배우 정우성. 제공|NEW

마지막으로 정우성은 ‘강철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을 이야기 했다. 쟁취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고, 희망사항이었다. “얻고 싶은 것을 희망 할 수는 있지만, 확신을 할 수는 없다”는 말로 시작했다.

“결국 관객들의 리액션이다. 흥행의 크기와 상관없이 작품에 대한 깊은 이해가 형성될 수 있다. 막연한 희망이다. 그 희망을 확신으로 바꾸기 위해 작업을 할 뿐이다. 영화가 완성되면 운명을 실험하기 위해 띄워 보낸다. 그 후에는 영화에 대해 내가 조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